소개합니다

      >     >  

    자유게시판

    송구영신 예배 유감
    2024-12-28 14:21:15
    박흥덕
    조회수   191

    *  송구영신예배 

     - 한자 - 送舊迎新禮拜

     - 영어 - a New Year's Eve Worship

      - 한국 개신교에서 매년 12월 31일 한 해를 보내고

     - 1월 1일 자정,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며 드리는 예배

     -  올바른 표현 - 새해맞이 감사예배 

     

    *  송구영신 말의 유래 

       - 중국의 '송고영신' (送 故 迎 新) 에서 유래

         중국 관가에서 구관을 보내고 신관을 맞이하는 '신구관 이취임식'에

         사용한 말.

        - 이 말이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음력 섣달그믐 밤에 묵은 해를 보내고

          신년의 운수대통을 기원하던 무속적인 민속 행사에 사용되었다.

     

    *  송구영신예배 유래

       - 1887년 12월 31일 새문안교회와 정동제일감리교회가 연합예배를 

         드린 것이 그 유래

      -  당시에는 '언약갱신예배' 혹은 '언약예배'로 불렀다고 한다.

     *  장로교회에서는  언더우드와 아펜젤러에 의해 '송구영신예배'가 

        시작되었다고 한다.

      - 선교 초창기의 교인들은 이 예배를 통해 지나간 한해를 돌아보며

        회개하고 하나님이 베풀어 주신 은혜에 감사하며, 새해를 맞아 새로운

        신앙을 다짐하는 시간을 가졌다.

      -  이런 소중한 의미가 담긴 예배라면 굳이 기독교적 배경과 무관한

         이교적이고 무속적인 '송구영신'이란 표현을 사용할 이유는 없다.

         또 현재 송구영신예배가 기복적인 절기행사로서의 성격이 강한 것도

         부인할 수 없다.

      -  그러므로 무분별하게 습관적으로 사용하던 '송구영신예배'란 표현보다

         지난 한 해 동안 베풀어 주신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고 새해에도

         하나님을 찬양하고 살겠다는 다짐을 담은 '새해맞이 감사예배'

         표현이 더 좋으리라 생각된다.

         (츨처:  지식백과) 

         

     

    댓글

    댓글쓰기 권한이 없습니다.